본문 바로가기

Books

박병창 <돈을 부르는 매매의 기술>

21년에 출간된 박병창 이사의 <돈을 부르는 매매의 기술>은 단기투자자의 자기 개발서 Classic 반열에 오른 책인데요.

굳이 단기투자자가 아니더라도 책 앞부분에 나오는 '50% 룰', 매수/매도 원칙등 기억해 둘 만한 좋은 내용들이 많습니다.

여기서는 매수/매도 원칙만 간단하게 보여드릴 텐데요.  저자의 22년 출간된 <돈을 부르는 매매의 심리> 역시 일독을 권합니다.

매수의 3원칙

박병창 <매매의 기술>

매수 제1원칙: 5일선 위에 있을 때

비교대상이 되는 음봉이 없기 때문에 50% 룰을 적용할 수 없다. 급등하는 주식을 고점에 매수하여 고생하는 투자자들이 많다. 그럼에도 단기 고수익을 내고 싶어 하기에 까다롭지만 포기할 수 없는 타이밍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오전 10시, 오후 2시라는 시간의 개념이다. 강한 주식일수록 장중 조정 하락을 한다면, 대부분 오전에 잠시 하락했다가 곧바로 다시 상승하는 특징을 보인다. 오전에 강세였다가 10시 이후에 하락한다는 것은 오전에 매수세와 매도세가 공방을 벌였으나 결국 매도세가 강해 하락하는 것이므로 매수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미 곰의 힘이 강해진 주식을 매수하면 안 되기 때문이다. 오전에 매수 신호가 없었던 주식은 장중에 거래하지 말고 시장이 끝날 무렵까지 관찰한다. 주가를 끌어올리던 매수 주체가 매도 물량이 온종일 소화되는 것을 보고 있다가 장 막판 무렵 다시 매수하여 올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후 2시 이후 매수세 진입으로 다시 시가를 돌파하여 상승할 때를 매수 원칙으로 한다.

매수 제2원칙: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있을 때

5일선 위에서 어느 날 가격 하락이 시작되면 상투를 만들고 하락으로 전환되는 것인지, 추세 상승 중 조정을 받는 것인지는 당시에는 알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몇 가지 원칙에 부합해야 조정이라고 판단한다.

우선 하락하는 동안 거래량이 현저히 감소해야 한다. 하락할 때 거래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주가를 끌어올리던 황소들이 매도하는 것이거나 강력한 곰이 출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거래량 증가 장대음봉으로 급락하면 조정이 아닌 추세 하락이다.

매수 제3원칙: 20일선 아래에 있을 때

흔히 20일선을 주가 움직임의 중요한 추세선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하향 돌파 후엔 크게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20일 선 아래에서 연속적으로 급락하고 있는 주식 중에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하락한 주식을 선별하고, 그중에서 다시 거래량 증가와 함께 양봉을 만드는 주식을 매수한다.
20일선 아래로 급락하는 주식들은 대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하락하는데, 그중에서도 거래량이 최대한 감소한 주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흔히 주가가 많이 하락하면 무작정 매수하는 투자자들이 있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급락하는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매도의 2원칙

매도 제1원칙: 5일선 위에 있을 때

5일선을 깨지 않고 상승하던 주식이 어느 날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음봉을 만들면 30~50% 정도 매도한다. 거래량이 폭증하면서 십자형 봉이 형성되면 30% 정도를 매도한다. 매도 1원칙의 신호가 발생하면 일부를 반드시 매도하는 것이 좋다. 즉 연속 상승한 주식이 어느 날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십자형 또는 음봉을 만들면 1차 매도를 하는 것이며, 5일선 아래서 반등이 약하고 20일선을 하향하려 하면 나머지 보유 주식 전부를 매도한다.

매도 제2원칙: 5일선과 20일선 사이에 있을 때

매수 제2원칙을 떠올려보자. 단기 상투 후 조정 하락(눌림목)에서 거래량이 급감하여 하락한 주식이 다시 거래량 증가와 함께 양봉을 만들 때가 매수 타이밍이다. 매도 제2원칙은 똑같은 상황에서 거래량 증가와 함께 음봉을 만들면 2차 매도를 하는 것이다.(제1원칙에서 30-50%를 매도했을 것이니 2차 매도는 전량 하라는 뜻)
20일선 바로 위에서 거래량이 증가하며 장대음봉을 만들면 이후 20일선을 하향 돌파하며 급락할 가능성이 크다. 상승 추세를 마무리하고 하락 추세로 전환되는 것이기에 전량 매도해야 한다.
이때 거래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20일선을 깨며 하락하는 종목도 종종 있다.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이 경우엔 시황과 기업을 볼 수밖에 없다. 기업에 문제가 없는데 시황과 연동돼 하락한다면 보유해야 한다. 반대로 시황이나 업황이 언제 다시 상승할지 명확하지 않은 가운데 내 포트폴리오에서 비중이 너무 크다면, 매수 제3원칙의 신호가 발생할 때 재매수하기로 하고 비중을 줄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