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 스스로를 '전문가'로 칭하는 사람을 피하세요. feat. <Dunning-Kruger effect>,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2000년, Ig Novel Prize를 수상한 이론, Dunning-Kruger Effect 가 있습니다.정말 짧게 말하면, '무식한 사람은 내가 무식한지도 모를 정도로 무식하다.'가 될 텐데요.내 지식 혹은 경쟁력(competence)이 매우 낮을 때, 자신감(confidence)이 가장 높습니다. "This is easy" 구간이죠그리고 내 경쟁력이 높아질수록, 자신감은 바닥을 쳤다가,정말 전문가라는 명칭이 걸맞은 실력을 갖추고 나면 자신감도 다시 올라갑니다. "Trust me, this isn't easy" 구간입니다. 눈썰미가 있으신 분은 봤겠지만,진짜 전문가가 되고 나서의 자신감은, 정말 쥐뿔도 모를 때의 자신감보다 더 낮습니다. 맞습니다. 이것이 내가 속한 조직에, 이 세상에 가짜 전문가들이..
009 삶은 선택이지만
"나의 삶은 내가 한 선택의 총합"이라는 말이 있습니다.(알베르 까뮈나, 데비 포드가 한 말이라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나 사실이 아닙니다.) 실제로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나의 삶에 어떤 것을 더할까를 선택하는 과정이 아닙니다.오히려 어떤 것을 도려낼까를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물건, 사상, 욕심, 생각, 사람.모든 것들은 자기가 얼마나 좋은 것인지, 인생에 얼마나 필요한지를 얘기합니다.이것들이 스스로의 공언대로 우리 인생에 필요한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정보가 필요합니다. 헌데, 정보는 항상 대가를 지불해야 얻을 수 있습니다.대가는 물질적인 손해일 때도, 시간일 때도, 마음의 상처일 때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너무 많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것, 힘들게 얻은 정보를 무시하지 않는 것..
006 용서하되 잊지는 마세요
용서하되 잊지는 마세요.여러 사람이 모인 곳에서, 대부분의 나쁜 행동은 소수의 사람들에게서 나옵니다.파레토의 법칙처럼, 20%의 나쁜 사람이 80%의 나쁜 행동을 한다고도 (거칠게나마) 말할 수 있습니다. 100명이 있는 어떤 모임이나 조직에서, 100개의 나쁜 일이 나타난다면,그 중 80개는 별로 좋지 않은, 20명의 좋지 않은 성품이 표현된 것,나머지 20개는 선량한 80명의 실수입니다. 잘못을 저지른 이가, (20%의 확율로) 선량한 80명 중 한 명 일 수 있기에, 용서하세요. 반대로 그가 (80%의 확율로) 그리 좋지 않은 20명 중 한 명 일 수 있기에, 절대 잊어선 안 됩니다. 용서는 지난 일을 과거로 보내주고, 당신을 미래로 나아가게 해 줍니다만,그것이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 한 번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