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글에서 이어가 보겠습니다.
금 값 과열과 리스크(1), 김치 프리미엄, 국제 시장 간 가격차이, ETF 괴리율, 선물, 현물,Gold Price an
얼마 전, 자산배분 universe 내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금의 가격 상승 요인 3가지와 정치와 금 값의 상관 관계를 얘기 한 적이 있는데요. 최근 가격이 급등하면서 시장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
ignarussenex.tistory.com
자연스러운 현상(3) 기억 나시죠?
월가에서 미국 금 선물을 short, 런던 금 현물을 long 하는 차익거래 말입니다.
헌데 이 자연스러운 현상(3)이 최근 붕괴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바로 트럼프 덕분이죠
금에도 관세를!? 관세 시작 전에 빨리 들여놓자!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보편적 관세에 금이 포함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생겼습니다.
프리미엄 조금 먹자고 차익거래 하고 있는데, 10%~20%의 관세를 때려버리면 관세로 인한 손해가 발생하게 생겼습니다. 어떻게 하죠?
월가가 미국으로 금을 배달
다행히 관세는 3월 이후, 4월쯤 시행될 것 같은데, 잽싸게 미국으로 가져와야죠.
트럼프가 대선 전.. 음.. 한 10월부터
"To me the most beautiful word in the dictionary is 'tariff'" 발언을 하고 다녔기에('24.10.16. WSJ),
미국으로 금 수입은 11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덕분에 같은 기간 뉴욕 COMEX의 금 보관량이 393 → 926톤으로 급증했다고 합니다.
투기자본도 미국으로 금을 배달
근데 월가만 똑똑한 게 아니죠.
관세가 붙으면 미국에서 금이 비싸질게 뻔하니 투기성 자본들이 영국에서 금 현물을 사모으기 시작했습니다. (자연스러운 현상(4))
영란은행에서 산 금을 받으려면 예전에는 며칠이면 됐지만, 지금은 4~8주를 대기해야 합니다.
차익거래 하던 월가 은행들과 투기자본이 동시에 금 현물을 당기고 있는 상황인데요. 금 값이 올라가는 것이 이상하지 않네요
월가 은행들의 눈물(??)
출고 지연으로 현물을 당장 미국으로 들여오기가 힘들어진 (일부)월가 은행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남았습니다.
관세를 두들겨 맞느니, 그냥 런던에서 사려던 현물을 다시 팔고, 미국에서 팔려던 선물을 되사면 되겠습니다.
헌데, 그 생각을 누가 안 할까요.
- 다 같이 현물을 파니 현물에 다시 역프리미엄(할인)이 생겼습니다. 온스당 -5$정도라고 하네요
- 다 같이 선물을 다시 사니, 선물 프리미엄이 올라갑니다.
앞서 1편에서 보신 그래프 기억나시죠?
25년 들어 선물 가격이 빠르게 올랐던 이유가 이제 이해가 갑니다. 자연스러운 현상(5)
그래서 우리의 문제는?
적어도 국제시장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의 연속
한국 언론들이 월가 은행 걱정을 너무 과하게 대신해 주는 것이 문제랄까요.
높은 프리미엄 반영
다만, 금이 자산배분의 일부 포션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 시장의 우리들에게는 고려해야 할 일이 있죠?
아래는 KRX에서 조회한 국내 시장의 1g당 가격입니다.
현물로 받기 좋은 100g짜리 골드바의 시세가 1Kg짜리 골드바 대비 5천 원 정도 비싸군요. 재밌네요.
아래는 역시 KRX에서 조회한 런던 현물 시장의 1g당 가격입니다. (통계 - KRX | 정보데이터시스템)
국내 금시장의 가격이 무려 3만 원 정도 비싸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23% 정도 비싸고요.
역시 한방의 민족, 매운맛 프리미엄인데요. 이게 우리의 문제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걸 프리미엄이 아닌 25% 관세를 예상한 선반영이라고 항변하리라 봅니다만,
그렇다고 이 프리미엄을 정당화해 주는 것은 아닙니다. 백번 양보해서, 아래가 모두 사실이라고 해도
- 지금 한국의 금 현물을 사가는 사람이 모두 미국인이다
- 그들은 23% 프리미엄을 지불하더라도 관세 확정 후에는 금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 그래서 지금 당장 금 실물을 받을 수 있는 한국 시장의 금 실물의 씨를 말렸다
23% 이상의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지 아닐지 어떻게 확신할까요?
관세가 붙는다고 해도, 예를 들어 5~10%라면 이 프리미엄이 온전할 수 있을까요?
지나친 금 ETF 괴리율
이 이야기는 이전 글에서 한 번 다룬 적 있습니다.
2월 10일 장중 거래 기준으로 괴리율이 한 때 4.5%에 이르렀었는데요.
아래 일 단위 종가 기준으로 확인해 보니, 괴리율은 점점 커지는 추세입니다.
이는 모든 ETF가 가진 공통적인 문제긴 하지만,
현재 금 ETF는 가뜩이나 높은 프리미엄이 붙은 국내 금가격에 괴리율까지 더 붙은 상황입니다.
찾는 사람이 많다 보니 일종의 바가지(?)를 씌우네요 :)
여기까지 긴 글을 참을성 있게 읽고 계신 분들이라면, 이런 문제들, 해결하고 싶으실 것 같습니다.
물론 해결방법은 참 쉽죠 :)
과매수, 과매도가 느껴질 때는 리밸런싱
몇 차례 반복해서 말씀드리지만, 자산 배분 리밸런싱을 미루고 계셨다면
다음 주에는 한번 해두시는 것이 어떨까요? 저는 이번 주에 했습니다 77ㅓ억
'Asset Allocation > Basic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락하는 시장에서 도망치면 생기는 일, JP Morgan <Impact of being out of the market> (0) | 2025.04.09 |
---|---|
추세와 주기, 자산 배분 Universe (0) | 2025.03.28 |
금 값 과열과 리스크(1), 김치 프리미엄, 국제 시장 간 가격차이, ETF 괴리율, 선물, 현물,Gold Price and Kimchi Premium (0) | 2025.02.16 |
[계절성 2] 월 단위 계절성 1년 전체 보기, Monthly Seasonality (0) | 2025.02.15 |
[계절성 1] 핼러윈 효과, 주식 시장의 2월 연중 계절성, Stock seasonality throughout the year, Halloween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