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e, Jack, John. 3명의 자녀들이 있습니다.
3명 모두 1977년부터 매년 1년에 $10,000씩 40년 간 투자합니다.
코로나 버블 이전인 `17년 투자를 종료하게 되네요. 즉, 2020년 이후 현재까지의 자산시장의 급상승 구간은 제외됩니다.
Jane은 40년 동안 항상 최고의 타이밍에 투자합니다. 40년 내내 S&P500 연중 최저점에서 매수합니다.
Jack은 아무 생각이 없습니다. 매년 첫 거래일에 투자합니다.
John은 똥손개미입니다. 40년 내내 지수가 연중 최고점일 때 매수합니다.
결과는요.
Jane은 CAGR 9.3%로 $4.4M을 얻었습니다.
40년동안의 천재적 타이밍이, 아무 생각 없는 Jack보다 $0.2M을, 똥손개미 John보다 $0.7을 더 벌어주었습니다.
CAGR의 차이는 각각 0.2%, 0.5%에 불과합니다. 물론 세 사람 모두 넉넉한 노후가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최고의 타이밍을 고르는 것 (Time the market)이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오래 투자하는 것입니다.(Time in the market)
그렇다면 우리 모두는 Jack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 까지가 원래 이 이야기의 전부인데요.
참 쉽죠 :)
다시 한번 Jane, Jack, John의 사례를 천천히 보겠습니다.
John은 내가 사기만 하면 빠지는 40년을 겪으며 어떤 기분을 느꼈을까요?
Jane, Jack, John은 `99년~`02년까지 3년 내내 빠지며 자신들의 재산이 반토막 날 때,
'06년에 겨우 회복한 전고점에서 '07년 금융위기로 다시 반토막 날 때,
은퇴를 10년도 남기지 않은 투자 32년 차인 '08년 재차 저점을 찍었을 때
어땠을까요?
40년을 그린 저 냉정한 그래프에는 저 세사람의 두려움과 고통의 순간들이 켜켜이 녹아 있습니다.
부자 되는데 40년은커녕 40일도 길게 느껴지는 저는 아직도 갈 길이 멉니다.
앞으로도 저 3남매만큼의 뚝심은 못 가질 것 같습니다.
저 같은, 앞으로도 Jane, Jack, John과 같은 훌륭한 사람은 되지 못할 인간이
Time in market을 하는 방법을 찾는 것. 그것이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이유입니다.
'Asset Allocation > Basic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섀넌의 도깨비,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0) | 2025.02.11 |
---|---|
평균회귀파 vs. 모멘텀파 Asset Allocation, Monthly 자산 배분 (0) | 2025.02.08 |
Default Mode의 자산 배분, 김성일 <마법의 연금굴리기> (0) | 2025.02.05 |
'좋은' 전략은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0) | 2025.02.05 |
Maximum DrawDown(MDD)에 관해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