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환국 작가의 <하면 된다! 퀀트투자> 내용의 일부입니다
1987년 ~ 2021년까지 코스피의 CAGR 8.95%, 5년 국채의 CAGR은 8.94% 였던 반면,
핼러윈 전략(Halloween Strategy)을 따르면, CAGR이 13.65%로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Halloween Strategy?!
Halloween Strategy는 전 세계 주식시장이 따르는 계절성(Seasonality)을 따르는 현상을 이용한 간단한 전략인데요.
전제
Cherry Y. Zhang, Ben Jacobsen의 유명한 논문 <The Halloween indicator, “Sell in May and Go Away”: Everywhere and all the time>에서 많은 국가의 수 백 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있습니다. 이 논문을 위의 강환국 작가가 리뷰한 영상도 있군요.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 세계 주식 시장은 11월~4월까지는 좋고, 5월~10월까지는 좋지 않다.
이것이 전략의 기본 전제가 됩니다.
행동요령
- 10월 말에 주식을 사고, 장기채권을 팔고
- 4월 말에 장기채권을 사고, 주식을 팝니다.
결과
위 표에서 본 바와 같이 CAGR 13.65%, MDD -35.8%짜리 전략이 됩니다
2월 중순, 11월 ~ 4월 기간의 숨겨진 함정
핼러윈 효과는 알아도, 이 함정 구간을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주식이 년 중 최저점을 3월에 찍는다는 Carson의 분석 데이터가 있습니다.
응!? 11월 ~ 4월 내내 주식이 좋다는데 이게 뭔 소린가요?
아.. 2월을 자세히 살펴보니 2월 중순부터 2월 말까지의 끈기 있는(?) 하락이 있었습니다.
이 하락이 1월 초부터 2월 중순까지 올라간 것을 다 까먹는 모양새인데요.
다시 위의 그래프를 보면 이런 추세는 3월 중순까지 이어집니다. 3월 중순 이후부터 4월 말 5월 초까지 불꽃 상승이 이어지죠.
결론
Seasonality를 과신할 필요는 없습니다.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죠.
이것을 보고 주식을 당장 주식을 '모두' 판다면, Seasonality가 틀렸을 때 실기하는 비용이 너무 아플 것입니다.
다만, 자산 배분을 하신다면, 국내외 주식 비중이 40% 정도는 되실 것 같은데요.
2월 20일이 되기 전 한번 리밸런싱을 해보시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Asset Allocation > Basic Conce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값 과열과 리스크(1), 김치 프리미엄, 국제 시장 간 가격차이, ETF 괴리율, 선물, 현물,Gold Price and Kimchi Premium (0) | 2025.02.16 |
---|---|
[계절성 2] 월 단위 계절성 1년 전체 보기, Monthly Seasonality (0) | 2025.02.15 |
금, 그게 돈이 됩니까? 금 값을 결정하는 세 가지 변수 feat. 김영익 교수, 3 variables define gold price (0) | 2025.02.12 |
오바마, 트럼프, 바이든 재임 기간 금값 변동, 금 가격과 정치, 가격 괴리율 (0) | 2025.02.11 |
섀넌의 도깨비,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