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박병창 <돈을 부르는 매매의 기술> 21년에 출간된 박병창 이사의 돈을 부르는 매매의 기술>은 단기투자자의 자기 개발서 Classic 반열에 오른 책인데요.굳이 단기투자자가 아니더라도 책 앞부분에 나오는 '50% 룰', 매수/매도 원칙등 기억해 둘 만한 좋은 내용들이 많습니다.여기서는 매수/매도 원칙만 간단하게 보여드릴 텐데요. 저자의 22년 출간된 돈을 부르는 매매의 심리> 역시 일독을 권합니다.매수의 3원칙매수 제1원칙: 5일선 위에 있을 때비교대상이 되는 음봉이 없기 때문에 50% 룰을 적용할 수 없다. 급등하는 주식을 고점에 매수하여 고생하는 투자자들이 많다. 그럼에도 단기 고수익을 내고 싶어 하기에 까다롭지만 포기할 수 없는 타이밍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오전 10시, 오후 2시라는 시간의 개념이다. 강한 주식일수록 장중 조정 .. [계절성 2] 월 단위 계절성 1년 전체 보기, Monthly Seasonality 직전 글에서(핼러윈 효과, 주식 시장의 2월 연중 계절성),11월 ~ 4월 사이의 주식이 좋은 기운을 받을 때(?)에도 2월 중순에서 3월 중순까지의 연속 하락 기간이 있음을 말씀드렸는데요.이 참에 1월 ~ 12월까지 전체 평균을 살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12개월 전체 계절성아래는 고마운 Carson에서 얼마 전 S&P 500의 월별 계절성을 분석한 자료인데요.24년에 대통령 선거가 있었으므로, 센스 있게 대통령 선거 다음 해(Post Election Year)의 그래프도 함께 보여주고 있네요.우리가 알고 있는대로, 11월(November)부터 4월(April)까지 좋은 편이나,2월(February)은 정말 부진합니다. 특히 대통령 선거 다음 해 2월의 성적이 더 나쁩니다.의외로 12월 ~ .. [계절성 1] 핼러윈 효과, 주식 시장의 2월 연중 계절성, Stock seasonality throughout the year, Halloween 강환국 작가의 내용의 일부입니다1987년 ~ 2021년까지 코스피의 CAGR 8.95%, 5년 국채의 CAGR은 8.94% 였던 반면,핼러윈 전략(Halloween Strategy)을 따르면, CAGR이 13.65%로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Halloween Strategy?!Halloween Strategy는 전 세계 주식시장이 따르는 계절성(Seasonality)을 따르는 현상을 이용한 간단한 전략인데요.전제Cherry Y. Zhang, Ben Jacobsen의 유명한 논문 Halloween indicator, “Sell in May and Go Away”: Everywhere and all the time>에서 많은 국가의 수 백 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있습니다. 이 논문을 위의 강환국 작가가.. [2025년 2월]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 사건 1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25년 2월 3일, 2심인 항소심에서도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 항소심도 무죄형사 재판이므로 엄격주의원칙에 입각, 처벌을 할 정도로 명백한 증거를 검찰이 제시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것인데요.이재용 회장의 유무죄 여부와 별개로,주주입장에서 삼성물산은 여러모로 괘씸한, 소액주주입장에서 호구당하는 느낌이 강한 회사입니다.2015년, 그들이 아쉬울 때 한 말아래 표가 2015년에 삼성물산이 합병을 진행하면서 약속했던 내용들인데요.통합 삼성물산, 배당 성향 30%로 확대…합병 무산 땐 재추진 없다 | 한국경제 (hankyung.com)2015년에 이미 '2020년 배당을 4800원 하겠다'라고 주장했습니다만, 합병 성공 다음 해부터 500원이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