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
금 값 과열과 리스크(1), 김치 프리미엄, 국제 시장 간 가격차이, ETF 괴리율, 선물, 현물,Gold Price and Kimchi Premium 얼마 전, 자산배분 universe 내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금의 가격 상승 요인 3가지와 정치와 금 값의 상관관계를 얘기한 적이 있는데요. 최근 가격이 급등하면서 시장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특히 국제 금시장과 국내 금현물 시장 (KRX금시장)과의 가격 차이를 지적하는 기사들이 많이 나왔는데요.이런 가격 불균형으로 인한 리스크들을 좀 뜯어봐야겠네요.가격 불균형[digression] 합리적(효율적) 시장가설을 주장한 Eugene Fama와, 합리적이지 않은 시장을 주장한 Robert Shiller 두 사람 모두 노벨 경제학상을 타셨죠. 두 사람은 각각 passive fund 진영과 active fund 진영의 사상적 배경이 되고 있는데요. 이 얘기도 한번 나중에 해야겠네요. 여하튼;;;가격..
금, 그게 돈이 됩니까? 금 값을 결정하는 세 가지 변수 feat. 김영익 교수, 3 variables define gold price 자산배분에서 금은 필수적인 재료 중 하나입니다. 서강대학교 김영익 교수 자료입니다.금의 가격 성과와 독특한 지위 코로나 기간의 미친 부동산 상승이 반영됐음에도 2000~2022년 구간에서 아파트가격의 CAGR은 5.7%입니다.반면  '23~'25년의 폭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금의 CAGR은 9.5%입니다.2000년에 3천만 원짜리 아파트를 샀다면 22년에는 1억 원짜리가 되었겠지만, 금은 2.2억이 되었을 것입니다.아울러, KRX금현물시장에서 샀다면 재산세도 없고 매도 차익에 대한 세금도 없죠.금이 자산 배분에서 가지는 보유 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타락한 달러의 대체 수단인플레이션 회피의 수단(여기까지는 비트코인도 같죠)안전자산으로서의 지위*※ 개인의 재산권이 심각하게 침해당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비..
오바마, 트럼프, 바이든 재임 기간 금값 변동, 금 가격과 정치, 가격 괴리율 말도 많고 기대도 많은 트럼프 2기는 트럼프 1기(2017초~2021초) 중,후반의 현상과 동일하게 흘러갈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귀찮아서 모든 자산들의 그때 상황을 파악하지는 않았지만, 선명히 기억하는 것은 있습니다.전 세계가 DEI, 포용성, liberal로 흘러갔던, 한가한 2010년대 중반 ~ 오바마 임기 종료까지는 안전자산인 금값의 가격히 낮아졌지만,트럼프가 중국에 관세를 때리기 시작한 2018년 이후 급격하게 올라갔고, 중국에 본격적 무역 제재를 가한 바이든 중반 이후 역시 급상승이 있었습니다. 화합보다 대결, 자유로운 교역보다 장벽과 관세가 우선할 때 안전 자산의 진가가 드러나는 것입니다.라고 예전 어딘가에 썼는데요.portfolio에 항상 금이 일정부분 존재하기에(https://ignar..

반응형